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건축11

감리중간보고서 세움터 등록 방법 총정리. 그래도 모르겠다면 원격지원으로 쉽게!! 감리중간보고서를 주기적으로 제출해야 된다. 기본적으로 기초타설완료 후, 1층 바닥 타설이 완료 한 시점을 기준으로 매 5개 층마다 감리중간보고서를 제출해야 된다. 예전에는 준공 시 일괄 보고를 했었는데 이젠 매 시기 도래 시마다 보고를 하게 되어 있어 부득이 세움터에 직접 등록을 하여 인허가청의 승인을 득해야 된다. 그럼 감리중간보고서 세움터 등록하는 간단한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감리 중간보고서 세움터 등록 방법 일단 감리중간보고서를 양식에 맞게 작성을 우선 해야 한다. 감리중간보고서 시기나 제출 방법 및 제출 서류에 대해 궁금하다면 아래 링크에 서류 양식과 제출 시기에 대하여 정리를 해놓았으니 참고하여 업무를 수행 하면 될 것이다. 감리 중간보고서 제출 시기 및 제출 서류 확인해보자건축현장 감리 업무.. 2024. 9. 24.
비구조요소 내진설계 수행 주체?(발주처,시공사,설계사?) 기준 및 적용 대상 확인 / 비구조요소내진설계 안내서 다운로드 건축 관련 규제 사항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더 강화된다. 더 약해지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그중 비구조요소의 내진설계가 적용된 지 조금 되었지만 그 기준과 시행주체, 적용 관련 법적 근거 등 다소 헷갈리는 사항을 간단하게 하나로 정리해보고자 한다. 비구조요소란? 일단 비구조요소란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면 비구조요소란 : 건축물 구조체에 부착되는 것들로서 구조부재를 제외한 모든 것들을 통칭하여 비구조요소라고 한다!! 즉!! 구조부재를 제외한 모든 건축물 구조체에 부착되는 것들!! 을 비구조요소라 한다!!  비구조요소 내진설계 행위 주체는?비구조요소 내진설계를 그럼 누가 해야 하는가에 대한 기준이 상당히 애매하다. 그리하여 정부에서는 비구조요소 내진설계에 관하여 법령으로 규정을 하였다.  법령 강화 계기.. 2024. 7. 8.
시설물 안전점검의 종류 및 실시시기 정리. 안전점검 실시 주체는 누구인가? 시설물 안전점검의 종류  법령 바로보기 클릭▶ : ☞시설물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별표3} ☜  구  분점 검 시 기점 검 내 용정기안전점검반기별 1회 이상공동주택: 안전점검- 세심한 외관조사 수준의 점검정밀안전점검건축물 4년1회 이상건축물 외 3년에 1회 이상- 면밀한 외관조사와 간단한 측정, 시험장비로 필요한 측정 및 시험긴급안전점검관리주체가 필요시 관계행정기관장 필요시- 정밀안전점검 수준의 안전점검이며 실시목적에 따라 손상점검 과 특별점검으로 구분정밀안전진단1회 이상/ 6년- 시설물의 재해 및 재난을 예방하기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정기안전점검 >>> 반기에 1회 이상정밀안전점검 >>> 건축물 4년에 1회 이상 , 건축물 외 3년에 1회 이상 정밀안전진단 >>> 5,6 년.. 2024. 6. 4.
MDF, TPS, EPS, UPS, IDF실이란 무언인가? 건축용어 정리 도면에는 모르는게 투성이다.  그 많은 모르는것 중 오늘은 MDF실, TPS실, EPS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각종 도면 통신용어 알아보기※ MDF ( Main Distribution Frame )외부 케이블과 내부케이블이 연결되는 곳으로 통신사의 회선이 각층으로 직접 분배되는것이 아니라 MDF실과 연결된 뒤 EPS실이나 TPS실로 분배된다. 일반적으로 큰 네트워크 장비들이 들어오기 때문에 TPS나 EPS실보다 크고 넓게 설계되어 있다.   ※ TPS ( Telecommunication Pipe Shaft )샤프트의 의미는 통로를 말한다. 즉 통신전용 케이블의 통로를 말한다. 보통 MDF실에서 분배된 케이블이 들어오고 다시 여기에서 분배된다.  통신실(MDF, EPS등) 시공사진  ※ EPS (.. 2024. 5. 7.
전력 vs 전압 차이 간단하게 알아보자! 데이터센터? 쉽게 알아보자 고등학교때 전력, 전압, 전류 등 각종 전기 관련 사항을 배웠으나 아... 일하면서 관련 업무 내용이 있어 구분을 할려니 너무 헷갈린다. 그래서 간단하게 정리를 해봤다. 전력, 전압, 전류 란? 1. 전류 : 전류는 간단하게 흐름 즉 물이 흘러가는 것 처럼 전기가 흘러가는 것을 전류라고 한다! 단위는 A 압페어 라고 읽는다. 2. 전압 : 전압은 쉽게 말하면 압력! 공기중 기압의 차이가 나야 바람이 부는것 처럼 압력이 차이가 나야 전류가 흐를수 있다. 즉! 전압이 220V라고 하면 이곳의 전기의 압이 220 만큼 쎄다고 생각하면 된다. 이 전압이 높아야 그 만큼 더 멀리 전기를 보낼수가 있다. 쉽게 말해 기압 차이가가 많이 나야만 바람을 멀리~~~ 보낼수 있는것 처럼 말이다. 단위는 V !! 볼트라고 읽.. 2024. 3. 30.
PTW 작업허가제와 작업계획서 대상 및 적용기준 한눈에 알아보고 작업계획서 양식 다운로드. 안전 작업허가제 : PTW (Permit To Safety Work) 안전 작업허가제 ( 공공 공사에 적용 ) 사전 작업허가제는 위험도가 높은 작업이 진행될 경우에 발주자나 원청사 또는 해당 안전침 등에 미리 작업에 대한 안전조치를 등을 확인받은 이후에 작업을 시작하도록 하는 관리 방법 관련법 : "건설현장 추락사고 방지 종합대책(4.11)에 따른 공공공사 추락사고 방지에 관한 지침" 즉, 안전 작업허가제는 공공공사에 적용되는 기준이다. 엄밀히 말하자면 건축법현장이나 주택법 현장에 적용되는 법은 아니다. "건설현장 추락사고 방지 종합대책(4.11)에 따른 공공공사 추락사고 방지에 관한 지침"의 6. 기타를 보면 ① 작업허가제 도입 1. 시공자는 2m 이상의 고소작업․1.5m 이상의 굴착․가설공사 등 위험.. 2023. 12. 16.
반응형